수성비전자방입니다. 오늘은 라즈베리파이 OS에서 고정IP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PC에서 CMD(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2. ipconfig 명령을 실행합니다.
3. 유선랜을 연결하신 분은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을, 무선랜을 연결하신 분은 무선 LAN 어댑터 Wi-Fi를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연결별 DNS 접미사, IPv6 주소, IPv4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가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합니다.
버추얼박스를 설치하신 분들께서는 VirtualBox Host-Only Network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4. 웹브라우저에서 게이트웨이로 접속하시면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DHCP IP(사설IP) 사용범위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KT 공유기의 경우 장치설정→네트워크 관리→LAN 연결 설정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사용중인 사설IP 외의 다른 IP를 라즈베리파이의 고정IP로 설정하겠습니다.
혹시 DHCP IP 사용범위 외에 사용할 수 있는 IP가 없다면 DHCP IP 사용범위를 축소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IP를 남겨 두시기 바랍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에서 고정IP를 설정하겠습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3 B+를 사용하였습니다.
5. 라즈베리파이 OS 작업표시줄에 있는 와이파이/유선랜 아이콘을 오른쪽 클릭합니다.
6. Wireless & Wired Network Settings를 클릭합니다.
7. eth0과 wlan0이 있습니다.
eth0: 이더넷(유선랜)
wlan0: 무선랜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설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둘 다 했습니다.^^
8. Automatically configure empty options에 체크하시면 빈칸을 자동으로 채워주므로 편리합니다.
9. IPv4 Address에 원하는 고정 IP를 입력합니다.
*. Router는 게이트웨이를 적는 칸입니다. 적고 싶으시면 적으세요.^^
10. 적용하고 닫아주세요.
11. 좌측 상단의 메뉴 아이콘을 클릭하고, 로그아웃을 클릭한 다음, Shutdown options에서 Reboot하시면 고정IP가 적용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만나요!
'라즈베리파이 > 라즈베리파이3 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Real VNC]Windows PC에서 라즈베리파이 원격제어하기 (0) | 2021.03.06 |
---|---|
라즈베리파이 OS 고정IP 설정하기 (0) | 2021.02.10 |
라즈베리파이3 B+로 홈페이지 서버 만들기(Node.js 이용) (0) | 2021.02.06 |
라즈베리파이 OS 설치와 한국어 패치(라즈베리파이3 B+) (0) | 2021.01.30 |
라즈베리파이3 B+에 라즈비안 설치하기2(라즈베리파이 조립, NOOBS 설치) (0) | 2019.07.29 |
라즈베리파이3 B+에 라즈비안 설치하기1(NOOBS 이용) (2) | 2019.03.31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