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비전자방입니다. 오늘은 PC를 교체했을 때 Windows 10을 Microsoft 계정으로 정품인증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Microsoft에서 제시하는 공식적인 인증 방법입니다.
우선 이전에 사용하던 Windows 10 PC에서 확인할 것이 있습니다.
1.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2. 업데이트 및 보안으로 들어갑니다.
3. 정품 인증에 들어갑니다.
4. 'Windows가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되었습니다.'라고 쓰인 것을 확인합니다.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이 중요합니다. 제대로 표시된다면 현재 로그인된 Microsoft 계정이 무엇인지 기억해 둡니다.(아마도 본인 계정이겠죠?)
만약 Microsoft 계정에 관한 이야기가 없을 경우 설정 앱→계정→사용자 정보로 들어가서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아니면 Microsoft 스토어에서 로그인하셔도 됩니다.)
수성비전자방입니다. 최근 Galaxy Book Flex2가 출시되었습니다. 저는 11번가를 통해 사전예약을 한 경우이며, 얼마 전 제품을 받아보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 다룰 것은 개봉기와 세팅 팁, 사양(스펙)입니다.
모델명: NT930QDZ-A58AZ
주의: 5G 아님.
개봉기
개봉한 지 시간이 지나 본문 중에 약간의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상자 안에 무엇이 들어 있을까요?
왼쪽에 있는 Buds Live는 사전예약 사은품으로 받은 것입니다. 이건 나중에 다룰 수 있으면 다루어 보겠습니다.
우리는 오른쪽의 노트북 상자에 주목!(상자 안의 뽁뽁이 안의 상자)
상자 안의 뽁뽁이 안의 상자는 랩으로 감싸져 있습니다.
랩을 뜯고 오른쪽 면을 찍어 보았습니다.
상자를 열면 이런 모습인데요. 왼쪽의 하얀 무언가를 잡고 당기면 노트북이 나옵니다.
이 부분을 뜯으면 되겠죠?
앞면입니다.
뒷면입니다.
덮개를 엽니다. 하얀 무언가가 또 보이네요. 노트북 뜯으면서 하얀 비닐같은 게 있는데 비닐이 아니라 플라스틱입니다. 사진 잘 보시면 그렇게 써 있죠?
앗! 화면에 침대가 비칠 줄이야. 정리 좀 할 걸...
노트북 모습입니다. 키보드를 잘 보시면 오른쪽 Shift 키가 작습니다. 지문 센서 때문이죠. 스마트폰처럼 화면에 센서 넣어주면 더 좋았을 것 같은데요...
저 종이에는 각종 정보가 적혀 있습니다. 들어내고 나면
이 상자에는
간단 사용 설명서와 핀이 있습니다.
사용 설명서 두꺼우면 잘 안 읽는데 '간단' 사용 설명서라서 금방 다 읽을 수 있습니다.:)
핀은 Micro SD 트레이를 꺼내는 데에 쓰입니다.(스마트폰의 유심 핀과 거의 동일한 역할)
사용 설명서와 핀이 들어있는 상자를 들어내면 또 다른 구성품들이 있습니다.
*AC 어댑터: 노트북을 충전할 때 쓰입니다. 노트북에는 C타입으로 꽂습니다! C포트 또는 Thunderbolt4 포트에 꽂으시면 됩니다.
*USB-C to A 어댑터: 밑에서 설명하겠지만 갤럭시 북 Flex2는 USB-A 포트가 없습니다. 그래서 USB-A를 꽂으시려면 이 어댑터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하나밖에 없으니 마우스 꽂으면 끝입니다. 허브를 사야 하겠습니다.
*USB-C to HDMI 어댑터: 간단 사용 설명서에는 별매품이라고 되어 있는데 왜 여기 들어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사전예약해서 서비스로 준 건가?
참고하시라고 AC 어댑터 사진 올려드립니다.
AC 어댑터
포트
[좌측]
*이어폰/헤드셋 잭(3.5mm인 듯.)
*USB type-c
*Micro SD 트레이: 아까 보여드린 핀으로 구멍을 꾹 찔러 사용합니다.
뭐.. 이런 식으로... 그런데 핀으로 찌르는 게 귀찮아서 잘 안 쓸 것 같습니다. Micro SD를 넣었다 뺐다 하기에는 좀 불편할 것 같은 방식이네요. 인식은 잘 됩니다.
[우측]
*전원 단추: 옆에 있는 게 특이하지만 자판 치다가 실수로 누를 일은 없죠.
*Thunderbolt4 포트 2개(USB-C 꽂을 수 있음.)
*S펜: (갤럭시 탭S7처럼 크고 굵은 S펜이 달려 있으면 좋겠지만)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S펜과 비슷한 것이 들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요즘 갤럭시 노트 시리즈 S펜처럼 블루투스 기능이 있어 측면 버튼 활용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갤럭시 북 Flex2는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S펜도 인식합니다.
운영체제 미포함(Console Linux)에 Windows 10 Pro를 설치했습니다.
저는 운영체제 미포함 버전을 선택했습니다. 갤럭시 북 Flex2의 운영체제 미포함 모델에는 Console Linux가 설치되어 있습니다.(그러니 엄밀히 말하면 미포함이 아니라 Console Linux 탑재이지만 딱히 강조할 필요가 없다...)
간단 사용 설명서 14쪽의 QR 코드를 스캔해서 그 방법대로 하시면 되는데 제가 몇 가지 기록(comment)을 하겠습니다.
4. 갤럭시 북 Flex2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전에는 터치스크린 및 터치패드가 작동하지 않으니 마우스를 연결하셔야 합니다.(마우스 연결 안 해도 키보드만 가지고 설치하는 방법이 삼성 사이트에 나와 있긴 합니다.)
Windows 설치파일이 있는 USB도 꽂아야 하고, 마우스도 꽂아야 하는데 USB C to A 어댑터를 하나밖에 제공받지 못하였으니 개인적으로 갖고 있는 허브를 사용합시다.
5.
부팅 중 F10을 눌러(빠르게 연타) Boot Menu로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6.
TINYCORE는 삭제하시고 Driver는 유지하셔야 합니다.
7. 삼성 사이트의 설명에서는 파티션을 딱히 분할하지 않았는데
저는 분할했습니다. 위 사진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면(사진의 순서대로 설명 안 하니까 유의해서 보세요.)
드라이브 0 파티션 4: Driver - 원래 있는 파티션. 6번 과정에서 유지하라고 한 그겁니다.
드라이브 0 파티션 3: C드라이브로 쓰려고 만든 약 115GB짜리 파티션.
드라이브 0 파티션 1: C드라이브 만드니까 자동으로 생긴 파티션.
드라이브 0 파티션 2: C드라이브 만드니까 자동으로 생긴 파티션.
드라이브 0 할당되지 않은 공간: 위 사진에는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라고 되어 있지만 위 사진 찍은 이후에 파티션을 만들어서 꽉 채웠습니다. 현재의 D드라이브입니다.
8. Windows 10 설치를 완료했더니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내 PC 우클릭→관리→저장소→디스크 관리(로컬) 로 들어가서 해결하시면 됩니다.
*파티션을 나누다 보면 Driver가 D드라이브가 되고, 새로 만든 파티션이 E드라이브가 될 수 있는데 Windows 10 설치 완료 후 드라이브 문자 변경 가능합니다.
*설치하고 보니 D드라이브가 안 보이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포맷을 안 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파티션을 만들었다고 땡!이 아니라 그 새로 만든 파티션을 포맷해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저처럼 포맷을 안 하셨다면, Windows 10 설치 완료 후에도 포맷이 가능합니다.
9. 드라이버 설치 전까지는 와이파이가 작동되지 않습니다. 유선랜 젠더가 없다면 유선랜도 연결할 수 없으니 어떤 인터넷도 연결할 수가 없습니다. 네트워크에 연결하라는 안내가 나오면 왼쪽 아래의 인터넷이 없음을 클릭한 다음, 왼쪽 아래의 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로컬 계정을 만들게 되는데 드라이버 설치 후 Microsoft 계정에 로그인하면 해당 로컬 계정이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됩니다.
10. 삼성 사이트에서는 Driver 파티션에 있는 Driver 파일을 열라고 했지만
Driver 파티션 안에 Driver 파일은 없으니 SystemSoftware를 실행해야 했습니다.
11. 10번 과정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Samsung Update가 설치됩니다. 그러면 설치할 수 있는 모든 드라이버를 설치하세요. 그러면 와이파이에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어디 그뿐입니까? 이제 터치도 됩니다.) Microsoft 계정에 로그인하시고, Microsoft Store에서 Samsung Update를 설치하세요. 그러면 삼성 앱스 목록에 있는 앱을 설치할 수 있게 됩니다. 삼성 앱스에는 여러 가지 앱이 있는데 저는 제 마음에 드는 것만 설치했습니다. 다만, S펜의 Air Command에 있는 기능 중에는 삼성 앱을 설치해야 쓸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12. Samsung Update의 삼성 앱스에 있는 Galaxy Book Members를 설치해 보세요. 혜택이 있을지도?
(사전예약한 저에게는 혜택이 있었습니다. 마음에 드는 건 삼성 에듀 인강 쿠폰.)
13. 드라이버 설치 후 파일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가 안 보인다면
폴더 및 검색 옵션의 보기 탭에서 설정을 바꾸시면 됩니다.
14. 순서가 뒤죽박죽인 점 죄송합니다.
Samsung Update의 삼성 앱스 목록에 있는 Samsung Settings 앱 강추합니다.
갤럭시 북 Flex2의 각종 설정을 건드릴 수 있습니다.
세팅에 대한 기록은 여기까지. 이제 11번가의 상품설명을 기반으로, 저의 사용기를 곁들여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CPU
lntel® Core™ i5-1130G7 Processor (1.8 GHz up to 4.0 GHz, 8 MB L3 Cache)가 탑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메모리(RAM)
보통 갤럭시 북 Flex2의 사양을 보면 8GB라고 되어 있겠지만,
11번가에서 구매하실 때 8GB(기본제품)와 16GB 중에서 고르실 수 있습니다.(다른 쇼핑몰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16GB를 선택했으며,
참고로 이 창은 Windows로고키+PauseBreak 조합으로 띄울 수 있습니다.
실제로 16GB RAM이 탑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장장치
256GB NVMe SSD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33.7cm(13.3inch) FHD 광시야각 QLED Display(1920×1080)이 탑재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입니다.
터치스크린에 대해서는 입력장치 부분에서 다루겠습니다.
그래픽
Intel® Iris® XeGraphics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AKG 스테레오 스피커 (Max 5W×2)
*Smart Amp
*SoundAlive™
*내장 듀얼 디지털마이크
*720p HD 카메라 1개: 잇섭님 영상 보니까 5G 모델은 카메라 2개라는데 제 것은 5G 아니라서 카메라 1개입니다.)
네트워크
Bluetooth v5.1
Wi-Fi 6(Gig+), 802.11 ax 2×2
입력 장치
*래티스 키보드(백라이트 지원): 참고로 백라이트는 Samsung Settings에서 아예 꺼버릴 수 있습니다.
*클릭패드
*터치스크린 및 S펜
갤럭시 북 Flex2는 360˚ 접어서 태블릿처럼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눕혀 놓고 글씨를 써 보겠습니다.
기본 제공되는 S펜으로 쓴 결과
위의 'S-pen'이라는 문구와 그 아래 문구들이 굵기가 확 다른 이유는 중간에 제가 펜 설정을 바꾸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360˚ 접었다는 것은 디스플레이와 키보드(?) 두 장이 겹쳐진 셈인데 글씨 쓰다 보면 약간의 흔들림이 느껴집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갤럭시 북 Flex2는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S펜도 인식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버지께서 갤럭시 노트 FE를 구입하실 때 사은품으로 받으신 S Pen Plus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갤럭시 노트7 폭발 사태로 남게 된 S펜들을 재활용하여 만든 펜이라고 합니다.(실제로 저거 분해해 보면 그냥 S펜이 나옵니다.)
참고로 필압 인식이 되는 앱이 있고, 안 되는 앱이 있습니다. 의외로 '캡처 도구'(Windows 보조프로그램)가 필압 인식이 되네요.^^
갤럭시 북 Flex2의 S펜도 요즘 출시되는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S펜처럼 블루투스 기능이 있어서 버튼을 누르거나 제스처를 취하여 액션을 수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Samsung Settings에서 설정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PPT 발표할 때 프리젠터 용도로 잘 쓰일 것 같네요.
참고로 S Pen Plus(갤럭시 노트 FE 사은품)은 옛날 제품이라서 블루투스 기능이 없습니다.
S펜을 화면 가까이에 대고 측면 버튼을 누르면 Air Command가 열립니다.(이건 블루투스와 관계 없음. S Pen Plus도 가능.)
이런 동작이 어려우시다면
Air Command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하시면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이건 개인 취향.)
보안기능: TPM, 지문인식
지문인식이 신기하니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설정으로 들어갑니다.(Samsung Settings 말고 Windows 10 설정)
2. 계정으로 들어갑니다.
3. 좌측 목록에서 로그인 옵션으로 들어간 뒤 우측에서 Windows Hello 지문을 선택합니다. 그 다음 설정 클릭.
4. 시작
5. 지문 센서에 손가락을 댑니다.
6. 몇 번 하면 다른 각도 시도하라고 합니다.
7. 그리고 PIN을 설정해야 합니다.
그러면 끝.
기타
ODD 없음.
색상: 미스틱 브론즈
전원: 69.7Wh(Typical)
크기(가로×세로×높이): 302.6×202.9×12.9mm
무게: 1.16kg
센서: 조도 센서, 가속 센서, 중력 센서
발열 및 팬소음
이건 사양(스펙)이 아니긴 한데 기록하긴 해야겠습니다. 팬소음 존재합니다.(막 크지는 않은데.)
첫날에는 이것저것 많이 해서 그런지 발열도 있었는데 둘째 날 이후부터는 발열은 거의 없는 것 같네요.
저는 처음에 이걸 보고 '윈도우폰만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안드로이드/iOS도 연결이 되더라구요.
윈도우폰이 망했는데 윈도우폰만 지원하겠습니까, 휴먼?
그래서 오늘은 제 노트북과 갤럭시 S20 FE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우선 Windows PC에서 '사용자 휴대폰' 앱을 실행합니다.
오른쪽(사이드바?)에서 Android와 iPhone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그리고 이 와중에 Windows Phone은 없습니다. 망했으니까...)
저는 안드로이드 사용자라서 안드로이드를 선택했습니다.
그러면 이런 창이 뜨는데 Android 스마트폰에서 www.aka.ms/yourpc 로 이동하여 사용자 휴대폰 도우미를 설치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파란 밑줄 그은 문장을 보시면 일부 삼성 장치의 경우 앱이 이미 설치되어 있으며 링크에서 열립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제 스마트폰이 딱 그렇습니다. 저 주소를 입력하면 QR 코드를 촬영하는 창이 열립니다.
또는 상단바를 내려 Windows와 연결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PC에서는 예, 사용자 휴대폰 도우미 설치를 마쳤습니다.에 체크하시고, QR 코드 열기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QR코드를 인식시키세요.(실제로는 위 사진보다 더 가까이서 찍으셔야 합니다.)
앱 권한을 허용하라고 합니다. 보통 다른 어플들은 이 쯤에서 권한에 대해 설명해 주는데 이 앱은 MS에서 만든 앱 주제에 권한 설명을 미리 안 해주네요?
이러한 권한들을 허용해 주어야 하는데 어플의 취지를 생각하면 당연한 권한들입니다.^^
이제 연결 허용을 해 줍시다.
이런 창도 뜨네요.
이제 이런 화면이 뜹니다. 참고로 연결을 끊으려면 연결된 컴퓨터 목록의 버튼 우측에 있는 톱니바퀴 아이콘을 터치해야 하는데 잘 안 눌립니다. 앱 프로그래밍이 잘못된 것 같아요.
이제 PC 화면을 보겠습니다.
연결이 되었죠? 저기 보면 작업 표시줄에 앱 고정에 체크가 되어 있습니다. 낚이지 마시고 싫으신 분들은 해제하시면 됩니다.
이 창 별 거 아닙니다.
알림 탭을 보면 알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휴대폰의 권한 필요라고 뜹니다. 휴대폰 설정 열기를 클릭하시면
스마트폰에 이런 화면이 열립니다. 사용자 휴대폰 도우미 알림 접근을 허용하시면 됩니다.
스마트폰의 알림을 Windows PC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알림을 지우시면 스마트폰에서도 알림이 지워집니다.
알림뿐입니까? 문자도 확인 가능합니다. 확인뿐만이 아닙니다. 전송도 가능합니다.
사진도 보실 수 있구요.
앱 목록도 있는데, 여기서 앱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스마트폰에 실행되며 원격제어가 가능합니다.
지금 시작을 눌러 주세요.
아! 그런데 원격 제어를 하려면 동일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동일한 와이파이에 연결하니 원격제어가 됩니다. 저는 티스토리 앱을 실행시켰습니다. 물론 여기서 티스토리 앱을 닫으면(=뒤로가기를 계속 누르면)
홈 화면도 원격제어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게 무선이라서 그런지 좀 버벅입니다.
통화 기능도 있던데 원격제어에 빠진 나머지 통화 기능은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사실 제가 통화 기능을 테스트해 보기는 좀 어려운 상황입니다.(누구에게 전화를 걸겠습니까? solo)
이렇게 오늘은 Windows 10 선탑재 앱인 사용자 휴대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Microsoft가 Windows 10이 설치된 PC와 안드로이드폰/아이폰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인 것 같습니다. 사실 이 기능은 삼성 스마트폰보다는 LG 스마트폰으로 테스트해 보고 싶었는데요, 아쉽게도 주변에 LG 스마트폰 사용자가 없답니다.^^
안녕하십니까? 수성비입니다. 오랜만에 PC 글을 올리네요. 수성비 전자방 PC 버전이 얼마나 반가운지 모릅니다..
오늘 제 방 컴퓨터를 Windows 10 Pro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그리고 한컴오피스를 설치하는데 .NET Frmaework 3.5(.NET 2.0 및 3.0 포함)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이 기능 다운로드 및 설치'를 눌렀습니다.
그런데 0x800F081F 오류가 뜨면서 안 되더라구요. 그래서 건너뛰었습니다.(과감) 그런데 .NET Framework 3.5가 없으니까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못하네요..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들어갔는데 설명이 복잡하고 제가 보기에 성의가 없네요.. 그래서 제가 필요한 겁니다.(?)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문제 해결을 위해 Windows 10 설치 미디어가 필요합니다. 저는 컴퓨터에 Windows 10을 설치한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에 설치 USB를 갖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USB를 연결했구요~. 저처럼 설치 미디어가 있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주소로 들어가셔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누르셔서 도구를 내려받으신 뒤 그 도구(Windows 10 설치 프로그램)로 ISO 파일을 만드시기 바랍니다.('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 기능 이용) 이 글은 설치 미디어 만드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른 분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답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제가 요즘 바쁘기도 하고 그런 현상을 보지도 못해서 당장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제가 2개월 이내에 버추얼박스를 설치해 볼 예정이기는 하나 원하시는 답변을 드릴 수 있다고 확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니 다른 분의 글을 참고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소원 성취하는 한 해 되기를 기도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수성비입니다. 며칠 전에 글을 올린 것 같은데 또 올리네요. 시험이 끝나니 아이디어가 떠오릅니다.(정확히 말하면 글 쓸 주제가 늘어납니다. 오예~!)
오늘 주제는 Windows 10 알림센터 알림 설정입니다. 제가 원래 페이스북 앱을 안 쓰는데(스마트폰 용량이랑 배터리 아끼려고) 데스크톱에 이미 페이스북 앱이 깔려 있더군요('선탑재'라고 하죠.). 그래서 써 봤습니다.
앱이 웹보다 훨씬 귀엽습니다.(참고로 페이스북 앱 관련 글은 따로 안 쓸 예정입니다. 모자이크 하기 귀찮아서...)
그런데 페이스북 앱을 쓰니 위 사진에서 노란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알림이 뜨더라구요.(소리도 나면서...) 인강 들을 때 방해될 것 같아서 끄고 싶었습니다.. 여기서 혹시 모르시는 분들 위해 설명해 드리면 위 사진에서 오른쪽 아래에 파란색으로 표시한 아이콘이 알림 센터입니다. Windows 10부터는 알림 센터에서 거의 모든 앱의 알림을 몰아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저 알림들 중 페이스북 앱 알림만 꺼 보겠습니다.(참고로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법으로 안 하고 페이스북 앱 들어가서 알림을 끄면 모바일에서도 알림이 꺼질 수 있습니다. 그런 거 싫으시면 이 글에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 설정으로 들어갑니다.(방법 다 아시죠? 시작에서 들어가거나 위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거 누르시면 돼요.)
2. 시스템으로 들어갑니다.
3. 알림 및 작업으로 들어갑니다.
4. 위 사진에서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분('라디오 단추'라고 하나요?) 눌러 원하는 앱의 알림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저는 페이스북만 껐습니다.
방법만 알면 간단하죠?(서론이 본론보다 긴 듯..) 이렇게 원하는 앱만 알림을 받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수성비입니다. 저는 컴퓨터 관련 누리사랑방인 '수성비 전자방'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컴퓨터마다 차이가 있을 것이고, 마침 얼마 전 컴퓨터를 새로 바꾸었으니(20160528 기준) 사양을 한 번 여기에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부품들&운영체제와 의문의 하드 디스크 2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조립은 자체 제작!(훗~)
예전까지는 32bit여서 많이 느렸고, 영상 제작도 오래 걸렸는데요. 지금은 64bit인데 속도 차이를 못 느끼겠어요.ㅋㅋ 그래도 지금 쓰는 건 기가비트랜도 되고(전에 쓰던 건 기가비트랜이 안 되서 기가 인터넷 쓰려고 컴퓨터 바꾼 겁니다.) 예전에 쓰던 낡은 노트북 쓰면 속도 차이가 느껴집니다. 모니터도 전에는 DSUB로 연결했는데 지금 DVI로 쓰니까 같은 Windows 10인데도 화질 차이가 느껴집니다.
안녕하세요? 수성비입니다. 오늘은 올해 여름 출시될 것으로 추정되는 Windows 10 Insider Preview를 깔아보기로 해요~!
알 수 없는 사람들:와~~~~~~~
아쉽게도 Windows 10 프리뷰 받는 과정은 생략합니다. Windows 누리집에서 인사이더 가입하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iso 파일을 받으신 후 http://rufus.akeo.ie/로 접속하셔서 Rufus를 설치합니다.(이 외에도 울트라 ISO 등 USB에 iso 파일을 구울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2. 비어 있는 USB에 Windows 10 프리뷰 iso 파일을 굽습니다.(Rufus 사용은 어렵지 않으니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3. 다시 시작하면서 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갑니다.(저는 제 컴퓨터가 아닌 XNOTE 노트북을 사용했습니다. 왜냐하면 아직 Windows 10이 프리뷰이기 때문에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안 쓰는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XNOTE은 F2를 눌러 바이오스에 들어갑니다.)
4. USB를 부팅 1순위로 설정합니다.
5. Windows 10 프리뷰 iso 파일로 부팅됩니다.
6. 부팅되면 잘 선택하시고 다음을 클릭하세요(Win7~8.1과 같음.).
7. 지금 설치 클릭ㄱㄱ
8. 동의하시고
9. 사용자 지정 들어가세요. 그 다음 알아서 잘 하세요(Windows 7~8.1과 비슷한 과정).
10. 다시 시작
켜는 중
11. 또 다시 시작(여기서 아무키나 누르면 안 되는 거 아시죠? 이거 모르는 사람은 깔지 마셍...)
12. 아름다운 설치 과정
13. 영어를 해석하라니...
14. 잠시만 기다리세요...
15. 이런 것도 생겼군...
16. 저는 계정이 없어서 노트북 주인 계정으로 로그인 했습니다.
17. 이제야 한글로 나오네요. 잠시 기다려 주세요.
18. 이 전후로 무슨 오류가 있었던 것 같은데 알아서 이 화면으로 넘어와요. Windows 8(.1)과 같은 것 같죠? 다릅니다. 너무 아름답게 안녕하세요가 하늘색 바탕에.. 궁금하면 직접 깔아보세요.
초록
파랑
자주
초록
파랑? 청색?
이제 슬슬
Windows 10 Insider Preview 후기를 시작합니다.
음.. 왜 3/4이 짤린 것인가?
와... 드디어 설치 끄읕!
트레이 아이콘 오른쪽에서 두번째를 누르면 뜨는 알림센터입니다. 스마트폰의 상태표시줄 내리면 나오는 화면 같아요.
[멀티 데스크톱]
장점:쓰기 편하다.
단점:쓰기 불편하다.
종합:반반(=더 편하면 좋을텐데...)
새로운 시작 메뉴입니다. 제가 약간 수정했어요.
왼쪽 위:음악 앱(Windows 스토어 앱)
오른쪽 위:Windows 10 시작(도움말인듯)
왼쪽 아래:Internet Explorer 11(데스크톱 앱인거 다 아시죠? Windows 7에도 있을 거예요.)
오른쪽 아래:Project Spartan(Windows 10에서 출시할 새 브라우저인데 .pdf 파일도 이걸로 실행시킨다는건 좀...
더 많은 것을 보여드리지 못해 아쉽습니다(특히 시험기간에 걸쳐서 써서 더 성의없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